리스너를 기준으로 한 거리에 따른 사운드 행동 방식의 다양한 측면을 제어하는 사운드 어테뉴에이션 세팅 에셋에 대한 레퍼런스입니다. 보통은 플레이어가 리스너이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므로 이 문서에서는 '리스너'라는 용어를 사용하겠습니다.
어테뉴에이션(볼륨)

이 섹션에서는 리스너가 사운드 소스에서 멀어짐에 따라 사운드 볼륨이 감소(감쇠)되는 방식을 정의합니다. 사운드의 볼륨은 어테뉴에이션 셰이프 영역 내에 있을 때 최대가 됩니다. 리스너가 이 내부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사운드 볼륨이 줄어들다가 외부 영역 경계에 이르면 볼륨이 최소가 됩니다. 거리에 따른 어테뉴에이션 비율은 어테뉴에이션 함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어테뉴에이션 함수
이 프로퍼티는 거리에 따른 어테뉴에이션 비율을 결정하는 함수를 정의합니다. 다음과 같은 다양한 함수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형(Linear)

디폴트 함수입니다. 이 함수를 사용하면 볼륨이 선형으로 감쇠하므로 리스너가 사운드 소스에서 멀어지거나 사운드 소스에 다가감에 따라 볼륨이 일정하게 증감합니다. 이 함수는 정확한 3D 공간 감쇠 세팅이 필요하지 않은 대규모 백그라운드 타입 사운드 간 크로스 페이딩에 적합합니다.
로그(Logarithmic)

이 함수를 사용하면 거리가 가까울수록 볼륨 변화가 커지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볼륨 변화가 적어지는 식으로 볼륨이 감쇠합니다. 이 함수는 적당한 거리에서 여전히 들리면서도 3D 포지셔닝을 정확하게 해야 하는 스팟 사운드에 적합합니다.
인버스(Inverse)

이 함수를 사용하면 로그 커브와 비슷하게 볼륨이 변하지만, 더 과장되게 변합니다. 이 함수는 먼 거리에서는 들리기만 하면 되고 리스너가 사운드 소스에 다가갈수록 소리가 상당히 커지는 사운드에 적합합니다.
로그 리버스(Log Reverse)

이 함수를 사용하면 거리가 가까울수록 볼륨 변화가 적어지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볼륨 변화가 커집니다. 이 함수는 먼 거리 전반에 큰 소리가 필요한 사운드에 적합합니다.
내추럴 사운드(Natural Sound)

이 함수는 더 '자연스러운' 감쇠 행동을 모델링하여 현실에 더 가까운 행동을 생성하려 시도합니다. 이 함수는 로그 함수와 인버스 함수 사이의 일종의 '중간 지점' 에 해당합니다.
커스텀(Custom)
원본 이미지를 보려면 클릭하세요.
제공되는 모든 함수가 필요한 행동에 적합하지 않을 때 여기서 직접 커스텀 함수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커브 에디터 창에서 직접 커브를 그려도 되고 기존 플로트 커브(Float curve) 에셋을 할당해도 됩니다.
어테뉴에이션 셰이프
사운드의 최소 및 최대 어테뉴에이션 포인트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셰이프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스피어(Sphere)

디폴트 셰이프로, 스피어 어테뉴에이션 셰이프를 생성합니다. 현실에서 사운드가 전파되는 방식을 모델링하므로 대부분의 스팟 사운드에 적합합니다.

캡슐(Capsule)

끝이 둥근 원기둥 모양인 캡슐 어테뉴에이션 셰이프를 생성합니다. 수도관처럼, 사운드가 공간의 어떤 특정한 한 지점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관을 따라 물이 흐르는 소리가 들리게 하고 싶은 경우에 적합합니다.

박스(Box)

박스 어테뉴에이션 셰이프를 생성합니다. 방에 맞는 박스 셰이프를 정의할 수 있으므로 방의 톤과 앰비언스 등에 적합합니다.

원뿔(Cone)

원뿔 어테뉴에이션 셰이프를 생성합니다. 공공장소의 스피커 등 지향성 어테뉴에이션 패턴이 필요한 상황에 적합합니다.

내부 셰이프 영역
이러한 프로퍼티는 사운드 볼륨이 최대가 되는, 즉 전혀 어테뉴에이션이 없는, 어테뉴에이션 셰이프의 내부 영역을 정의합니다. 언리얼 유닛으로 사운드 소스의 원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한 값입니다.
선택한 어테뉴에이션 셰이프에 따라 프로퍼티가 달라집니다.
내부 반경(Inner Radius)
스피어 어테뉴에이션 셰이프의 내부 영역을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캡슐 절반 높이(Capsule Half Height)
캡슐 어테뉴에이션 셰이프의 내부 영역 높이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절반 높이'라고 하는 까닭은 캡슐의 중간 지점인 사운드 원점으로부터 측정된 높이이기 때문입니다.

캡슐 반경(Capsule Radius)
캡슐 어테뉴에이션 셰이프의 내부 영역 반경을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크기(Extents)
사운드 원점으로부터 측정된 박스 어테뉴에이션 셰이프의 치수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이 프로퍼티에는 x, y, z 세 개의 값이 있습니다.

원뿔 반경(Cone Radius)
사운드 원점으로부터 측정된 원뿔 어테뉴에이션 셰이프의 내부 영역 길이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원뿔 각도(Cone Angle)
원뿔 중앙으로부터 측정된 원뿔 어테뉴에이션 셰이프의 내부 영역 너비를 도 단위로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원뿔 감쇠 각도(Cone Falloff Angle)
원뿔 각도 외부로부터 측정된 원뿔 어테뉴에이션 셰이프의 외부 영역 너비를 각도 단위로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원뿔 설정(Cone Offset)
사운드 원점 바로 뒤에서 원하는 원뿔 시작점까지의 거리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다른 프로퍼티와는 독립적이므로 원뿔이 뒤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늘어납니다.

감쇠 거리(Falloff Distance)
어테뉴에이션 셰이프의 외부 영역 크기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이 프로퍼티는 셰이프와 상관없이 동일한 프로퍼티로, 내부 영역 가장자리로부터 측정됩니다.




볼륨 어테뉴에이션 활성화(Enable Volume Attenuation)
거리 기반 볼륨 어테뉴에이션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프로퍼티입니다.
활성화하면 위에서 정의한 세팅에 맞게 거리에 따라 사운드가 감쇠됩니다.
비활성화하면 사운드와 리스너 사이의 거리와 관계없이 사운드가 최대 볼륨으로 재생됩니다.
어테뉴에이션(공간화)(Attenuation(Spatialization))

이 섹션에서는 게임 월드에서 사운드가 공간화되는 방식을 정의합니다. 프로젝트에 가장 잘 맞는 공간화 메서드를 선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세팅을 통해 리스너가 사운드 주변을 이동할 때의 사운드 행동 방식을 실험해 볼 수도 있습니다.
공간화 활성화(Enable Spatialization)
사운드 공간화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프로퍼티입니다.
활성화하면 사운드가 게임 내 특정 위치로부터 공간화되며 리스너의 이동에 따라 패닝됩니다. 스팟 사운드 소스처럼 게임 월드 특정 위치에서 사운드가 들리게 하고 싶은 경우 이 프로퍼티를 사용합니다.
비활성화하면 사운드가 공간화되지 않고 사실상 2D '플랫' 사운드가 되므로 리스너에 대한 사운드 소스 위치와 상관없이 패닝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 프로세스의 정확한 특성은 스피커 환경설정과 사운드 포맷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스테레오 재생을 사용하는 경우, 모노 사운드는 스테레오로 업믹스되지만, 쿼드 5.1 및 7.1 사운드는 스테레오로 다운믹스됩니다. 프로젝트 세팅(Project Settings) > 엔진(Engine) > 오디오(Audio) > 퀄리티(Quality) > 모노 채널 업믹스 메서드(Mono Channel Upmix Method) 내에서 모노 사운드 업믹스에 사용되는 메서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영역 루프 또는 방의 톤처럼, 게임 월드의 특정 위치로부터 사운드가 들리게 하고 싶지 않은 경우 이 프로퍼티를 사용합니다.
공간화 메서드(Spatialization Method)
사운드 공간화 시 사용할 패닝 메서드를 정의할 수 있는 프로퍼티입니다. 현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패닝(Panning)
디폴트 옵션으로, 언리얼 엔진의 표준 패닝 메서드를 사용하여 공간 포지셔닝을 계산합니다. 이 메서드를 사용하는 경우, 글로벌 프로젝트 세팅으로 선형 파워 패닝을 사용할지 동등 파워 패닝을 사용할지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은 프로젝트 세팅 > 엔진> 오디오 > 퀄리티 > 패닝 메서드 내에 있습니다. 라우드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때 사용하기에 가장 좋은 메서드입니다.
바이노럴(Binaural)
사운드의 공간 포지셔닝을 처리하기 위해 활성화한 바이노럴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이 플러그인은 프로젝트 세팅 > 플랫폼(Platforms) > [사용 플랫폼] > 오디오(Audio) > 공간화 플러그인(Spatialization Plugin) 내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내장 공간화 플러그인을 사용해도 되고 플러그인(Plugins) 창에서 서드파티 플러그인을 활성화해도 됩니다. 바이노럴 패닝은 라우드스피커를 통해서는 잘 변환되지 않으므로 이 메서드는 헤드폰을 통해 재생해야 합니다.
공간화되지 않은 반경(Non-Spatialized Radius)
사운드가 공간화된 사운드에서 공간화되지 않은 사운드(2D 사운드가 됨)로 전환되기 시작하는 거리 하한 한계치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사운드 소스에 가까울 때 사운드의 공간 위치가 갑자기 부자연스럽게 점프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유용합니다. 또한, 대형 기계나 폭포 같은 사운드 소스 가까이에서 '큰' 사운드로 공간 필드를 가득 채우는 경우에도 유용합니다.
아래 이미지에서 대형 기계 사운드의 공간화되지 않은 반경은 450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녹색 구체로 표시된 부분입니다. 리스너가 이 반경을 벗어나면 사운드가 정상적으로 공간화되지만, 리스너가 이 한계치 안으로 들어오면 모든 사운드 채널이 스피커 환경설정의 모든 채널로 블리드되기 시작합니다. 이 프로세스는 정의된 한계치에서 시작하여 사운드 원점에서 100% 블리드되면 끝나는 방식으로 보간됩니다. 예를 들어, 5.1 시스템에서 재생되는 스테레오 사운드는 왼쪽 채널이 모든 5개 채널로 블리드되고 오른쪽 채널이 모든 5개 채널로 블리드됩니다. 그 결과 사운드가 공간 필드를 가득 채우기 시작합니다. 즉 사용하는 스피커 환경설정과 관계없이 사운드가 모든 스피커에서 나오기 시작하면서 훨씬 더 사실적인 규모감을 선사합니다.

3D 스테레오 스프레드(3D Stereo Spread)
게임 월드에서 스테레오 사운드가 공간화될 때 왼쪽 채널과 오른쪽 채널 간의 거리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스테레오 사운드 사용 시 너비와 크기에 대한 감각을 강화하는 데 적합합니다. 또한, 사운드 소스 공간 위치의 갑작스런 점프 현상을 완화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에서 녹색 구체와 빨간색 구체는 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기계 양쪽에 배치된 스테레오 사운드의 왼쪽 채널과 오른쪽 채널을 나타냅니다.

3D 스테레오 사운드 정규화(Normalize 3D Stereo Sounds)
월드에서 공간화되는 스테레오 사운드에 적용되는 6dB 게인 감소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위의 3D 스테레오 스프레드 프로퍼티나 거리 관련 패닝을 통해 스테레오 스프레드가 0.0으로 감소할 때 채널 합으로 인한 사운드 클리핑이 발생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어테뉴에이션(공기 중 흡수)(Attenuation(Air Absorption))

이 섹션에서는 공기 중 흡수가 사운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즉, 거리에 비례하여 고주파가 저주파보다 빨리 감쇠하는 현상을 모델링하는 알고리즘 작동 방식을 정의합니다.
필터 적용 거리 범위를 정의한 다음, 로우 패스 컷오프 주파수 세팅을 사용하여 원하는 필터링 정도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 필터는 최소 거리와 최대 거리 사이를 이동할 때 최소 컷오프 주파수와 최대 컷오프 주파수 사이를 보간합니다. 공기 중 흡수 모델링을 위한 로우 패스 필터뿐 아니라, 거리에 비례하여 인식되는 사운드 크기를 줄이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하이 패스 필터도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에서 녹색 원은 최소 거리를, 빨간색 원은 최대 거리를 나타내며, 모든 필터 세팅이 이러한 두 거리 사이에 적용되고 보간됩니다.

공기 중 흡수 활성화(Enable Air Absorption)
공기 중 흡수 모델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프로퍼티입니다.
활성화하면 사운드 소스로부터 리스너의 거리에 따라 컷오프 포인트가 달라지는 로우 패스 필터(아래 세팅으로 환경설정됨)를 사용하여 사운드가 처리됩니다.
비활성화하면 사운드가 처리되지 않습니다.
최소 디스턴스 범위(Min Distance Range)
필터가 적용되어야 하는 사운드 소스로부터의 최소 거리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다양한 세팅을 실험하여 사용하는 사운드에 가장 적합한 포인트를 찾아야 하겠지만, 어테뉴에이션 거리 세팅의 내부 범위를 기준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대 디스턴스 범위(Max Distance Range)
필터가 적용되어야 하는 사운드 소스로부터의 최대 거리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다양한 세팅을 실험하여 사용하는 사운드에 가장 적합한 포인트를 찾아야 하겠지만, 어테뉴에이션 거리 세팅의 감쇠 범위를 기준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로우 패스 컷오프 주파수 최소(Low Pass Cutoff Frequency Min)
위에서 정의한 최소 디스턴스 범위에 있을 때 로우 패스 필터의 컷오프 주파수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다양한 세팅을 시험하여 사용하는 사운드에 가장 적합한 값을 찾아야 하겠지만, 실제로는 사운드 소스에 가까울 때 공기 중 흡수 효과가 거의 없으므로 이 프로퍼티 값은 크게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로우 패스 컷오프 주파수 최대(Low Pass Cutoff Frequency Max)
위에서 정의한 최대 디스턴스 범위에 있을 때 로우 패스 필터의 컷오프 주파수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다양한 세팅을 실험하여 사용하는 사운드에 가장 적합한 값을 찾아야 하겠지만, 실제로는 사운드 소스에서 멀수록 공기 중 흡수 효과가 커지므로 이 프로퍼티 값은 작게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이 패스 컷오프 주파수 최소(High Pass Cutoff Frequency Min)
위에서 정의한 최소 디스턴스 범위에 있을 때 하이 패스 필터의 컷오프 주파수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다양한 세팅을 실험하여 사용하는 사운드에 가장 적합한 값을 찾아야 하겠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 프로퍼티 값은 미묘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사운드 소스에 가까이 있을 때 사운드가 크게 느껴지기를 원한다면 이 프로퍼티 값은 작게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이 패스 컷오프 주파수 최대(High Pass Cutoff Frequency Max)
위에서 정의한 최대 디스턴스 범위에 있을 때 하이 패스 필터의 컷오프 주파수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다양한 세팅을 실험하여 사용하는 사운드에 가장 적합한 값을 찾아야 하겠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 프로퍼티 값은 미묘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멀리서 들었을 때 사운드 크기가 더 작고 덜 지배적으로 느껴지게 하려면 이 프로퍼티 값은 크게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로그 주파수 스케일링 활성화(Enable Log Frequency Scaling)
리스너 위치를 기준으로 보간할 때 필터 컷오프 주파수 값에 로그 스케일 적용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세팅에 따라, 디폴트 선형 스케일이 일부 극단적이고 부자연스러운 사운드 결과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로그 스케일을 활성화하면 선형 주파수 스윕처럼 보이게 되므로 변화가 부드러워집니다.
흡수 메서드(Absorption Method)
필터링 거리에 따라 보간이 스케일링되는 방식에 내장된 스케일링 함수, 즉 위의 로그 또는 선형 함수를 사용할지 아니면 자체적인 커스텀 커브를 생성할지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퍼티입니다.
다음 두 가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형
위의 프로퍼티에 따라 내장 선형 또는 로그 스케일링 함수를 사용합니다.
커스텀
이 옵션을 선택하면 로우 패스 필터와 하이 패스 필터 각각에 대해 커스텀 스케일링 커브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원본 이미지를 보려면 클릭하세요.
어테뉴에이션(포커스)(Attenuation(Focus))

이 섹션에서는 사운드의 '포커스 행동'에 사용할 수 있는 일부 추가 프로세싱을 제어합니다. 리스너의 회전을 기준으로 한 사운드 위치에 따라 사운드가 더 두드러지게 들리게 하고 싶은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특별한 픽업 아이템이 있고 이 아이템의 사운드는 나머지 믹스에 의해 보통 의도적으로 약간 가려져 있지만, 플레이어가 똑바로, 또는 거의 똑바로 이 픽업 아이템을 바라보고 있을 때는 믹스에서 이 아이템 사운드를 약간 높여 강조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니면 사람들이 바로 앞에 있는 사운드에 주의를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에서 발생하는 지각 차이를 에뮬레이트하기 위해 모든 사운드에 이 리스너 포커스 행동을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세팅을 사용하여 사운드를 포커스가 맞는지 벗어났는지 분류하는 각도, 포커스가 맞는지 벗어났는지에 따라 사운드의 거리 계산 및 우선순위 설정에 적용할 스케일링 양, 포커스가 맞을 때와 벗어났을 때 사운드에 적용할 어테뉴에이션 양, 사운드 포커스가 맞을 때와 벗어났을 때 이러한 세팅에 대한 보간 속도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에서 녹색 원뿔은 오브젝트를 포커스가 맞는 것으로 분류하는 각도 영역을 나타내며 빨간색 원뿔은 트랜지션 영역을 나타냅니다. 이 영역을 벗어나는 모든 오브젝트는 포커스가 벗어난 것으로 분류됩니다.

리스너 포커스 활성화(Enable Listener Focus)
리스너 포커스 시스템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프로퍼티입니다.
활성화하면 사운드가 포커스가 맞는지 벗어났는지 확인하고 그에 따라 다양한 스케일링 인수를 적용합니다.
비활성화하면 사운드가 단순하게 일반적인 어테뉴에이션과 거리, 우선순위 세팅에 따라 행동합니다.
포커스 방위각(Focus Azimuth)
포커스가 맞는 것으로 분류되기 위해 사운드가 그 안에 있어야 하는 방위각(가로 회전)을 결정하며 도 단위로 표시됩니다. 각도가 0도이면 리스너의 전방 벡터 바로 앞에 있는 것입니다.
포커스 없는 방위각(Non-Focus Azimuth)
포커스가 벗어난 것으로 분류되기 위해 사운드가 벗어나야 하는 방위각(가로 회전)을 결정하며 도 단위로 표시됩니다. 각도가 0도이면 리스너의 전방 벡터 바로 앞에 있는 것입니다.
포커스 거리 스케일(Focus Distance Scale)
리스너로부터 사운드의 계산된 거리와 그에 따른 사운드 감쇠 볼륨에 적용될 스케일링 값을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이 값이 1.0보다 작으면 포커스가 맞을 때 사운드가 실제보다 리스너에게 더 가까이 있는 것처럼 들립니다.
포커스 없는 거리 스케일(Non Focus Distance Scale)
리스너로부터 사운드의 계산된 거리와 그에 따른 사운드 감쇠 볼륨에 적용될 스케일링 값을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이 값이 1.0보다 크면 포커스가 벗어났을 때 사운드가 실제보다 리스너에게서 더 멀리 있는 것처럼 들립니다.
포커스 우선순위 스케일(Focus Priority Scale)
사운드 자체 내에서 정의되는 사운드의 우선순위 세팅에 적용될 스케일링 값을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이 값이 1.0보다 크면 포커스가 맞을 때 사운드의 우선순위 세팅이 증가합니다.
포커스 없는 우선순위 스케일(Non Focus Priority Scale)
사운드 자체 내에서 정의되는 사운드의 우선순위 세팅에 적용될 스케일링 값을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이 값이 1.0보다 작으면 포커스가 벗어났을 때 사운드의 우선순위 세팅이 감소합니다.
포커스 볼륨 어테뉴에이션(Focus Volume Attenuation)
포커스가 맞는 것으로 분류될 때 사운드의 볼륨에 적용될 스케일링 값을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이는 위의 어테뉴에이션 거리 세팅에 따라 리스너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사운드의 초기 볼륨 스케일이 조절된 후에 발생합니다. 이 값이 1.0보다 크면 포커스가 맞을 때 사운드의 볼륨이 증가합니다.
포커스 없는 볼륨 어테뉴에이션(Non Focus Volume Attenuation)
포커스가 벗어난 것으로 분류될 때 사운드의 볼륨에 적용될 스케일링 값을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이는 위의 어테뉴에이션 거리 세팅에 따라 리스너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사운드의 초기 볼륨 스케일이 조절된 후에 발생합니다. 이 값이 1.0보다 작으면 포커스가 벗어났을 때 사운드의 볼륨이 감소합니다.
포커스 보간 활성화(Enable Focus Interpolation)
포커스 보간 시스템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사운드가 포커스가 맞거나 벗어나는 상태를 오갈 때 세팅 간에 부드럽게 전환되도록 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활성화하면 사운드가 포커스가 맞거나 벗어나는 상태를 오갈 때 위의 다양한 세팅에 보간이 적용됩니다.
비활성화하면 사운드가 포커스가 맞거나 벗어나는 상태를 오갈 때 시스템이 위에서 정의된 세팅 사이를 단순히 전환합니다.
포커스 어택 보간 속도(Focus Attack Interp Speed)
이 프로퍼티는 포커스가 벗어난 상태에서 포커스가 맞는 상태로 바뀔 때 사용되는 보간 속도를 정의하는 스칼라입니다. 값이 클수록 보간 시간이 빨라집니다.
포커스 릴리즈 보간 속도(Focus Release Interp Speed)
이 프로퍼티는 포커스가 맞는 상태에서 포커스가 벗어나는 상태로 바뀔 때 사용되는 보간 속도를 정의하는 스칼라입니다. 값이 클수록 보간 시간이 빨라집니다.
어테뉴에이션(리버브)(Attenuation(Reverb))

이 섹션에서는 리스너로부터의 사운드 거리와 그 사운드에 적용되는 리버브 양의 관계를 정의합니다. 여기서는 월드 세팅(World Settings) 내에 디폴트 리버브 세팅을 정의했거나 리버브 이펙트가 적용된 오디오 볼륨 내에 사운드가 있고 사운드의 사운드 클래스 세팅에서 리버브를 적용할 수 있다고 가정합니다.
리버브 전송 레벨, 리버브 이펙트에 전송할 사운드의 양(리버브 최소/최대 전송 레벨), 리스너로부터 사운드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방식(리버브 최소/최대 전송 거리)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메서드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리버브 전송 활성화(Enable Reverb Send)
리버브 전송 시스템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프로퍼티입니다.
활성화하면 사운드는 아래에 정의된 세팅에 따라 할당된 리버브 이펙트에 의해 처리됩니다.
비활성화하면 사운드는 리버브에 의해 처리되지 않으며 완전히 드라이됩니다.
리버브 전송 메서드(Reverb Send Method)
리버브 이펙트에 전송되는 사운드의 양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메서드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선형(Linear)
리버브 이펙트에 전송되는 사운드의 양이 최소/최대 거리 값에서 정의한 거리에 걸쳐 최소/최대 전송 레벨에서 정의한 값 사이의 보간에 의해 결정됩니다.
커스텀 커브(Custom Curve)
원본 이미지를 보려면 클릭하세요.
리버브에 전송되는 사운드의 양이 최소/최대 거리 값에서 정의한 거리에 걸쳐 사용자가 정의한 커브에 의해 결정됩니다.
수동(Manual)
리버브에 전송되는 사운드의 양이 단일 상수 값에 의해 정의됩니다. 이 양은 거리에 따라 변하지 않으므로 포인트 소스 3D 사운드보다는 공간화되지 않은 '앰비언스 스타일' 사운드에 가장 적합할 것입니다.
리버브 최소 전송 레벨(Reverb Min Send Level)
최소 거리 프로퍼티에서 정의한 거리에 있을 때 사운드에 적용할 리버브의 양을 결정하는 프로퍼티로, 선형 전송 메서드 사용 시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운드 소스에 가까울 때 리버브 사운드가 아닌 더 직접적인 사운드로 들리도록 이 값을 작게 설정합니다.
리버브 최대 전송 레벨(Reverb Max Send Level)
최대 거리 프로퍼티에서 정의한 거리에 있을 때 사운드에 적용할 리버브의 양을 결정하는 프로퍼티로, 선형 전송 메서드 사용 시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운드 소스에서 멀리 있을 때 직접적인 사운드가 아닌 더 리버브 사운드로 들리도록 이 값을 크게 설정합니다.
리버브 최소 거리(Reverb Min Distance)
최소 전송 레벨(선형 전송 메서드 사용 시) 또는 커스텀 커브의 가장 작은 값에 해당하는 사운드 소스로부터의 거리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리버브 최대 거리(Reverb Max Distance)
최대 전송 레벨(선형 전송 메서드 사용 시) 또는 커스텀 커브의 가장 큰 값에 해당하는 사운드 소스로부터의 거리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어테뉴에이션(오클루전)(Attenuation(Occlusion))

이 섹션에서는 사운드 소스와 리스너 사이에 있는 오브젝트로 인해 고주파 콘텐츠 및/또는 진폭이 감소하는 사운드 이펙트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내장 오클루전 시스템이 작동하는 방식을 정의합니다.
엔진이 장애물을 확인하는 방식과 장애물이 있는 경우 로우 패스 필터링 및 볼륨 감소 정도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결과적으로 사운드 변화가 발생하는 속도를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오클루전 활성화(Enable Occlusion)
내장 오클루전 시스템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프로퍼티입니다.
활성화하면 내장 시스템이 장애물을 확인하고 아래에서 정의한 세팅을 적용합니다.
비활성화하면 내장 시스템이 꺼지고, 아래 플러그인 세팅에서 정의한 서드파티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는 한 사운드가 오클루전을 에뮬레이트하지 않습니다.
오클루전 트레이스 채널(Occlusion Trace Channel)
사운드 소스와 리스너 사이에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할 트레이스 채널을 결정하는 프로퍼티입니다. 기본값은 비저빌리티(Visibility)로, 대개 대부분의 용도에 적합합니다. 기본적으로 오브젝트의 프로퍼티에 콜리전이 설정되어 있으면 이 세팅으로 작동합니다. 오클루전 시스템에서 특정 오브젝트를 제외하여 사운드에 장애물이 되지 않게 하려면, 사용 중인 채널(예: 비저빌리티)에 대한 콜리전 반응(Collision Responses) 프로퍼티를 '무시(Ignore)'로 설정하면 됩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콜리전 프리셋(Collision Preset) 프로퍼티를 '커스텀(Custom)'으로 변경해야 할 수도 있는데, 그러면 다른 시스템의 올바른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변경해야 합니다. 커스텀 오디오 트레이스(Audio Trace) 채널을 설정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오클루전 로우 패스 필터 주파수(Occlusion Low Pass Filter Frequency)
시스템이 사운드 소스와 리스너 사이에 장애물을 탐지한 경우 적용할 로우 패스 필터의 컷오프 주파수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이 값을 작게 설정할수록 필터링 이펙트가 더 극단적이고 눈에 띄게 나타납니다.
오클루전 볼륨 어테뉴에이션(Occlusion Volume Attenuation)
시스템이 사운드 소스와 리스너 사이에 장애물을 탐지한 경우 사운드의 볼륨에 스케일링 값을 적용하는 방식을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이 값을 작게 설정할수록 볼륨이 더 극단적이고 눈에 띄게 감소합니다.
오클루전 보간 시간(Occlusion Interpolation Time)
사운드가 장애물에 가려진 상태와 가려지지 않은 상태를 오갈 때 오클루전 이펙트의 전환 시간을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이 값을 작게 설정할수록 시스템의 반응 속도가 빨라지지만, 세팅에 따라 극단적인 행동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다양한 시간 값을 실험하여 상황에 따라 가장 적합한 값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오클루전에 복합 콜리전 사용(Use Complex Collision for Occlusion)
장애물 시스템에 대한 복합 콜리전 모델 사용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는 프로퍼티입니다. 기본적으로 시스템은 오브젝트의 단순 콜리전을 사용하여 장애물을 확인하는데, 그 이유는 리소스 비용 면에서 훨씬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레벨의 오브젝트 셰이프가 복잡한 경우에는 사운드가 장애물에 가려지지 않은데도 가려진 것으로 플래그가 지정되는 등, 납득하기 어려운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아래 스크린샷에서 오브젝트의 단순 콜리전 모델과 복합 콜리전 모델 간의 차이점과, 리스너가 오브젝트 아래쪽에 있을 때 앞서 언급한 문제가 어떻게 발생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테뉴에이션(우선순위)(Attenuation(Priority))

이 섹션에서는 채널 한계에 도달한 경우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는지 또는 활성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지를 결정합니다. 우선순위 어테뉴에이션 메서드를 선택하고 우선순위 어테뉴에이션 최소 거리와 최대 거리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우선순위 어테뉴에이션 활성화(Enable Priority Attenuation)
거리에 따라 사운드 우선순위 어테뉴에이션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세팅입니다.
우선순위 어테뉴에이션 메서드(Priority Attenuation Method)
우선순위 어테뉴에이션 제어에 사용되는 메서드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선형(Linear)
우선순위 어테뉴에이션이 거리 범위와 우선순위 어테뉴에이션 범위 간 선형 보간을 기반으로 합니다.
커스텀 커브(Custom Curve)
우선순위 어테뉴에이션이 제공된 커브를 기반으로 합니다.
수동(Manual)
스태틱 우선순위 스칼라를 기반으로 하는 수동 우선순위 어테뉴에이션입니다. 이 세팅은 2D 사운드에 유용할 수 있습니다.
최소 거리에서 어테뉴에이션 우선순위(Priority Attenuation At Min Distance)
사운드가 가장 가까운 리스너로부터 최소 우선순위 어테뉴에이션 거리에 있을 때 우선순위를 조절할 보간된 값입니다.
최대 거리에서 어테뉴에이션 우선순위(Priority Attenuation At Max Distance)
사운드가 가장 가까운 리스너로부터 최대 우선순위 어테뉴에이션 거리에 있을 때 우선순위를 조절할 보간된 값입니다.
우선순위 어테뉴에이션 최소 거리(Priority Attenuation Min Distance)
우선순위 어테뉴에이션 최소 거리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우선순위 어테뉴에이션 최대 거리(Priority Attenuation Max Distance)
우선순위 어테뉴에이션 최대 거리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어테뉴에이션(서브믹스)(Attenuation(Submix))
원본 이미지를 보려면 클릭하세요.
이 섹션에서는 편리한 방식으로 사운드 소스를 서브믹스에 전송할 수 있습니다. 한곳에서 많은 수의 에셋에 대한 서브믹스 센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세팅은 볼륨 어테뉴에이션도 정의되어 있을 때 유용할 수 있습니다.
서브믹스 센드 활성화(Enable Submix Send)
거리에 따라 서브믹스 센드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서브믹스 센드 세팅(Submix Send Settings)
오디오를 거리 함수로 서브믹스에 전송하는 데 사용할 서브믹스 센드 세팅 세트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서브믹스(Submix)
거리를 기준으로 오디오가 전송될 서브믹스입니다.
서브믹스 센드 메서드(Submix Send Method)
서브믹스 센드에 사용되는 메서드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서브믹스 최소 전송 레벨(Submix Min Send Level)
사운드가 서브믹스 최소 전송 거리에 지정된 값과 동일한 거리에 있을 때 서브믹스에 전송되는 사운드 양입니다.
서브믹스 최대 전송 레벨(Submix Max Send Level)
사운드가 서브믹스 최대 전송 거리에 지정된 값과 동일한 거리에 있을 때 서브믹스에 전송되는 사운드 양입니다.
서브믹스 최소 전송 거리(Submix Min Send Distance)
서브믹스에 전송하기 위한 최소 거리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서브믹스 최대 전송 거리(Submix Max Send Distance)
서브믹스에 전송하기 위한 최대 거리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수동 서브믹스 센드 레벨(Manual Submix Send Level)
수동 서브믹스 센드 레벨을 정의하는 프로퍼티입니다. 거리 함수로 변하지 않습니다.
커스텀 서브믹스 센드 커브(Custom Submix Send Curve)
거리 기반 전송 레벨에 사용할 커스텀 커브를 정의할 수 있는 프로퍼티입니다.
어테뉴에이션(소스 데이터 오버라이드)(Attenuation(Source Data Override))

이 섹션에는 소스 데이터 오버라이드 플러그인과 함께 사용할 세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소스 데이터 오버라이드 활성화(Enable Source Data Override)
소스 데이터 오버라이드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WaveInstance 데이터 오버라이드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프로퍼티입니다.
소스 데이터 오버라이드 플러그인 세팅(Source Data Override Plugin Settings)
소스 데이터 오버라이드 플러그인과 함께 사용할 세팅 배열입니다. 모든 오디오 플러그인이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어테뉴에이션 플러그인 세팅(Attenuation Plugin Settings)
이 섹션에서는 공간화, 오클루전, 리버브 또는 소스 데이터 오버라이드에 사용하기로 선택한 서드파티 플러그인의 개발자가 제공한 모든 세팅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네이티브 내장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이 섹션은 비어 있습니다.
공간화 플러그인 세팅(Spatialization Plugin Settings)
모든 공간화 플러그인 세팅이 여기에 표시됩니다.
오클루전 플러그인 세팅(Occlusion Plugin Settings)
모든 오클루전 플러그인 세팅이 여기에 표시됩니다.
리버브 플러그인 세팅(Reverb Plugin Settings)
모든 리버브 플러그인 세팅이 여기에 표시됩니다.
소스 데이터 오버라이드 플러그인 세팅(Source Data Override Plugin Settings)
모든 소스 데이터 오버라이드 플러그인 세팅이 여기에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