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시퀀서 주요 단축키와 해당 기능 목록입니다.
재생 및 타이밍
명령 | 설명 |
---|---|
스페이스 바 | 재생과 일시정지 간에 시퀀스 재생을 토글합니다. |
아래쪽 화살표 | 시퀀스를 재생합니다. |
K | 시퀀스를 일시정지합니다. |
위쪽 화살표 | 시퀀스 시작으로 이동합니다. |
Ctrl + 위쪽 화살표 | 시퀀스 끝으로 이동합니다. |
왼쪽 화살표 | 시퀀스에서 한 프레임만큼 뒤로 이동합니다. |
오른쪽 화살표 | 시퀀스에서 한 프레임만큼 앞으로 이동합니다. |
L | 앞으로 왕복(shuttle)합니다. 왕복은 속도가 증분되는 방식의 시퀀서 재생을 묘사하는 편집 콘셉트입니다. 이 키를 누르면 시퀀스 재생을 시작하며, 누를 때마다 속도가 빨라집니다. |
J | 뒤로 왕복(shuttle)합니다. 시퀀스가 이미 재생 중이거나 앞으로 왕복 중인 경우, 이 키를 누를 때마다 재생 속도가 줄어들다가 결국 거꾸로 재생되기 시작합니다. |
Shift + 왼쪽 화살표 | 재생 옵션 메뉴에서 점프 프레임 증가(Jump Frame Increment) 로 정의된 양만큼 시퀀스에서 뒤로 이동합니다. |
Shift + 오른쪽 화살표 | 재생 옵션 메뉴에서 점프 프레임 증가 로 정의된 양만큼 시퀀스에서 앞으로 이동합니다. |
Ctrl + 왼쪽 화살표 | 선택한 키프레임이나 섹션을 한 프레임 뒤로 이동합니다. |
Ctrl + 오른쪽 화살표 | 선택한 키프레임이나 섹션을 한 프레임 앞으로 이동합니다. |
[ | 시퀀스의 시작 시간을 플레이헤드로 설정합니다. |
] | 시퀀스의 종료 시간을 플레이헤드로 설정합니다. |
End | 마스터 시퀀스의 시작 및 종료 시간을 모두 모든 샷의 기간과 일치하도록 설정합니다. |
. | 시퀀스에서 각 키프레임 및 섹션 바운드만큼 앞으로 이동합니다. |
, | 시퀀스에서 각 키프레임 및 섹션 바운드만큼 뒤로 이동합니다. |
I | 커스텀 타임라인 선택 범위의 시작 포인트를 플레이헤드로 설정합니다. |
O | 커스텀 타임라인 선택 범위의 종료 포인트를 플레이헤드로 설정합니다. |
Page Up | 플레이헤드의 이전 샷을 포함하는 커스텀 타임라인 선택 범위를 생성합니다. |
Page Down | 플레이헤드의 다음 샷을 포함하는 커스텀 타임라인 선택 범위를 생성합니다. |
M | 현재 플레이헤드 시간에 커스텀 타임라인 표시를 생성하거나 삭제합니다. |
Ctrl + Shift + . | 이전 커스텀 타임라인 표시로 시퀀서 재생을 빨리 감습니다. |
Ctrl + Shift + , | 다음 커스텀 타임라인 표시로 시퀀서 재생을 빨리 감습니다. |
Ctrl + Shift + T | 타임코드와 초, 프레임 간에 시간 표시를 순환합니다. |
Ctrl + A | 현재 선택한 액터를 시퀀서에 추가합니다. |
Shift + S | 자동 스크롤을 토글합니다. 활성화하면, 시퀀스가 재생되면서 플레이헤드가 계속 보이도록 타임라인을 자동으로 스크롤합니다. |
Ctrl + T | 숫자 값을 입력한 다음 Enter 를 눌러 타임라인의 특정 시간으로 이동합니다. |
Ctrl + R | 시퀀서로 애니메이팅된 모든 오브젝트를 원래 에디터 기본 상태로 복원합니다. |
타임라인 및 트랙 탐색
명령 | 설명 |
---|---|
우클릭 드래그 | 커서 이동에 따라 타임라인 뷰를 패닝합니다. |
마우스 휠 스크롤 | 타임라인을 위아래로 패닝합니다. |
Shift + 마우스 휠 스크롤 | 타임라인을 좌우로 패닝합니다. |
Ctrl + 마우스 휠 스크롤 | 타임라인을 줌합니다. |
Alt + Shift + 우클릭 드래그 | 커서 이동에 따라 타임라인을 줌합니다. |
Home | 시작 및 종료 시간을 프레이밍하기 위해 타임라인 줌 레벨을 복원합니다. |
- | 타임라인을 10% 줌 인합니다. |
= | 타임라인을 10% 줌 아웃합니다. |
V | 선택한 트랙을 한 레벨만큼 펼치거나 접습니다. |
Shift + V | 선택한 트랙과 그 후손을 펼치거나 접습니다. |
Ctrl + G | 선택한 트랙을 새 폴더로 그룹화합니다. |
Shift + G | 폴더에서 선택한 트랙을 제거합니다. |
Alt + Left | 뒤로 이동하여 이전에 본 샷이나 시퀀서를 엽니다. |
Alt + Right | 앞으로 이동하여 이전에 본 샷이나 시퀀스를 엽니다. |
Ctrl + F | 시퀀서에서 트랙 이름을 검색할 수 있도록 검색창에 초점을 맞춥니다. |
Ctrl + [ | 플레이헤드로부터 뒤쪽에 있는 모든 키프레임과 섹션을 선택합니다. |
Ctrl + ] | 플레이헤드로부터 앞쪽에 있는 모든 키프레임과 섹션을 선택합니다. |
키프레이밍
주요 키프레임 작업에 다음과 같은 명령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명령 | 설명 |
---|---|
Enter | 플레이헤드에서 선택한 각 트랙에 대한 키프레임을 생성합니다. |
가운데 클릭 | 커서 위치에서 선택한 트랙에 대한 키프레임을 선택합니다. |
Ctrl + Shift + V | 시퀀서의 클립보드 히스토리에서 복사한 키프레임을 붙여넣습니다. 키프레임을 복사할 때마다 특별 시퀀서 클립보드 히스토리에 추가됩니다. 이 히스토리에서 언제든 복사된 특정 키 세트를 선택하여 붙여넣을 수 있습니다. ![]() |
Ctrl + Left | 선택한 키프레임과 섹션을 한 프레임만큼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
Ctrl + Right | 선택한 키프레임과 섹션을 한 프레임만큼 오른쪽으로 이동합니다. |
Ctrl + M | 선택한 키프레임과 섹션을 지정된 양만큼 이동합니다. |
키프레임 보간
다음과 같은 단축키를 사용하여 키프레임 보간 모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명령 | 설명 |
---|---|
1 | 선택한 키프레임을 큐빅(자동)(Cubic (Auto)) 으로 설정합니다. 키프레임 사이에 커브를 부드럽게 유지하려 하며 시작 키프레임과 끝 키프레임을 둘 다 이징합니다. 키프레임을 추가하거나 이동할 때마다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
2 | 선택한 키프레임을 큐빅(사용자)(Cubic (User)) 로 설정합니다. 큐빅(사용자)는 큐빅(자동)과 비슷하지만, 키프레임을 추가하거나 이동할 때 추가 자동 편집되지 않도록 탄젠트가 고정됩니다. |
3 | 선택한 키프레임을 큐빅(꺾임)(Cubic (Break)) 으로 설정합니다. 큐빅(꺾임)은 큐빅(자동)과 비슷하지만, 탄젠트가 꺾임 상태이므로 커브 에디터(Curve Editor)로부터 다른 입사각과 반사각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4 | 선택한 키프레임을 선형(Linear) 으로 설정합니다. 선형 탄젠트는 키프레임 사이에 스무딩이나 이징이 없으므로 각 키프레임에 도달할 때 갑작스러운 시작이나 중단이 일어납니다. |
5 | 선택한 키프레임을 상수(Constant) 로 설정합니다. 상수 탄젠트는 현재 값을 다음 키프레임에 도달하기 전까지 유지하므로 비보간 키프레임과 유사하게 작동합니다. |
섹션 편집하기
다음과 같은 명령을 사용하여 섹션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
명령 | 설명 |
---|---|
Ctrl + / | 플레이헤드 위치에서 선택한 섹션을 분할합니다. |
Ctrl + , | 선택한 섹션의 왼쪽을 플레이헤드 위치까지 잘라냅니다. 이 명령은 섹션 데이터를 제거하기만 합니다. |
Ctrl + . | 선택한 섹션의 오른쪽을 플레이헤드 위치까지 잘라냅니다. 이 명령은 섹션 데이터를 제거하기만 합니다. |
Alt + [ | 선택한 트랙에서 모든 섹션의 왼쪽을 플레이헤드 위치까지 잘라냅니다. 이 명령은 섹션 데이터를 추가할 수도, 제거할 수도 있습니다. |
Alt + ] | 선택한 트랙에서 모든 섹션의 오른쪽을 플레이헤드 위치까지 잘라냅니다. 이 명령은 섹션 데이터를 추가할 수도, 제거할 수도 있습니다. |
트랜스폼 트랙
다음과 같은 명령을 사용하여 액터의 트랜스폼을 키프레이밍할 수 있습니다.
명령 | 설명 |
---|---|
S | 없는 경우 트랜스폼 트랙을 생성하고 위치(Location)와 회전(Rotation), 스케일(Scale) 프로퍼티를 키프레이밍합니다. |
Shift + W | 없는 경우 트랜스폼 트랙을 생성하고 위치 프로퍼티만 키프레이밍합니다. |
Shift + E | 없는 경우 트랜스폼 트랙을 생성하고 회전 프로퍼티만 키프레이밍합니다. |
Shift + R | 없는 경우 트랜스폼 트랙을 생성하고 스케일 프로퍼티만 키프레이밍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