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 엔진 5 에디터의 자동 LOD 생성(Automatic LOD Generation) 시스템을 사용하면 스태틱 메시의 폴리곤 수를 자동으로 줄여서 LOD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자동 LOD 생성은 2차 메시 간소화라는 기능을 사용하여 스태틱 메시에 사용할 LOD를 생성하는 작업을 도와줍니다. 2차 메시 간소화의 작동 방식은 우선 에지를 접을 때, 즉 두 버텍스를 하나로 병합할 때 생성되는 시각적 차이의 양을 계산합니다. 그런 다음 시각적 영향이 가장 적은 에지를 선택하여 접습니다. 이 경우, 해당 툴은 새로 병합된 버텍스를 배치하기에 최적의 위치를 선택하며 에지와 함께 접힌 트라이앵글은 모두 제거합니다. 이렇게 트라이앵글의 요청된 타깃 수에 도달할 때까지 에지를 계속 접습니다. 다음 가이드에서는 언리얼 엔진 5 프로젝트에서 자동 LOD 생성 시스템을 구성 및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구성
다음 섹션에서는 '시작용 콘텐츠(Starter Content)'를 갖춘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작업을 진행할 스태틱 메시 에셋을 실행해 보겠습니다.
하우투 가이드의 이 파트에서는 '시작용 콘텐츠'에 포함된 SM_Rock 스태틱 메시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원하는 스태틱 메시가 있다면 무엇이든 사용해서 진행해도 괜찮습니다.
-
아직 준비가 되지 않은 경우 새 언리얼 엔진 5 프로젝트를 열거나 생성합니다. 단, 시작용 콘텐츠 포함(With Starter Content) 설정이 활성화되어 있어야 합니다.
-
프로젝트가 로드되면 SM_Rock 스태틱 메시를 찾아 더블클릭하여 스태틱 메시 에디터(Static Mesh Editor) 에서 엽니다.
LOD 생성하기
LOD의 생성 방식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 방식은 LOD 그룹(LOD Group) 프리셋을 사용하여 미리 환경설정된 세팅을 기반으로 LOD를 자동 생성하는 것으로, 에픽게임즈에서는 이 방식을 권장합니다. 두 번째 방법은 LOD를 직접 구성하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아래에는 각 LOD 생성 방식을 사용하는 방법이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LOD 그룹 사용하기
LOD 그룹을 사용하는 것은 언리얼 엔진 5에서 자동 LOD 툴로 LOD를 생성할 때 선호되는 방식입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언리얼 엔진 5 프로젝트에서 LOD 그룹을 구성 및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
먼저 BaseEngine.ini 파일을 찾아 텍스트 에디터에서 엽니다. 그런 다음
[StaticMeshLODSettings]
섹션을 찾습니다. BaseEngine.ini 파일에서 이 항목을 찾을 수 없는 경우 다음 코드를 BaseEngine.ini 파일에 복사하여 붙여 넣습니다.[StaticMeshLODSettings] LevelArchitecture=(NumLODs=4,LightMapResolution=32,LODPercentTriangles=50,PixelError=12,SilhouetteImportance=4,Name=LOCTEXT("LevelArchitectureLOD","Level Architecture")) SmallProp=(NumLODs=4,LODPercentTriangles=50,PixelError=10,Name=LOCTEXT("SmallPropLOD","Small Prop")) LargeProp=(NumLODs=4,LODPercentTriangles=50,PixelError=10,Name=LOCTEXT("LargePropLOD","Large Prop")) Deco=(NumLODs=4,LODPercentTriangles=50,PixelError=10,Name=LOCTEXT("DecoLOD","Deco")) Vista=(NumLODs=1,Name=LOCTEXT("VistaLOD","Vista")) Foliage=(NumLODs=1,Name=LOCTEXT("FoliageLOD","Foliage")) HighDetail=(NumLODs=6,LODPercentTriangles=50,PixelError=6,Name=LOCTEXT("HighDetailLOD","High Detail"))
이 섹션에서 항목을 추가, 제거 또는 조정하면 LOD 그룹 함수가 사용되는 방식을 추가, 제거 또는 조정하게 됩니다.
-
이제 언리얼 엔진 5 에디터를 열고 콘텐츠 브라우저(Content Browser) 에서 LOD를 생성할 대상 스태틱 메시를 더블클릭하여 엽니다. 이 예시에서는 시작용 콘텐츠에 포함된 SM_Rock 을 사용합니다.
-
스태틱 메시 에디터에서 스태틱 메시를 연 다음에는 디테일(Details) 패널로 이동하여 LOD 세팅(LOD Settings) 섹션을 펼칩니다.
-
'LOD 세팅' 섹션에서 LOD 그룹 버튼을 클릭하면 표시되는 목록에서 SmallProp 옵션을 선택합니다.
-
그러면 현재 수행하고 있는 작업이 현재 세팅을 'SmallProp'의 새 세팅으로 덮어쓸 것이라는 알림이 표시됩니다. 예(Yes) 버튼을 눌러 계속합니다.
-
이제 스태틱 메시 에디터에 새 LOD 항목인 'LOD0', 'LOD1', 'LOD2' 및 'LOD3'이 디테일 패널에 추가됩니다. 각 LOD 항목을 클릭하면 해당 세팅이 프로젝트의 BaseEngine.ini 파일 내
StaticMeshLODSettings
에서 정의된 세팅과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LOD 거리 자동 계산(Auto Compute LOD Distances) 은 해당 LOD에 사용할 화면 크기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체크해야 합니다. 알고리즘은 모든 에지 접기에 의해 추가되는 시각적 차이가 얼마나 큰지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정보를 통해 오차가 허용되는 거리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세팅을 끄면 각 LOD에 필요한 화면 크기를 일일이 직접 설정해야 하므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제 다양한 LOD 그룹 세팅으로 실험하면서 오브젝트에 LOD가 생성되는 방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LOD를 직접 생성하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수동으로 LOD 생성하기
이 섹션에서는 프로젝트 에셋에 사용할 LOD를 수동으로 구성 및 생성하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다음 단계를 통해 LOD를 생성할 수는 있지만 에픽게임즈에서는 이전 섹션에서 설명된 LOD 그룹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스태틱 메시 에디터의 디테일 패널에서 LOD 세팅 섹션을 펼치고 LOD 개수(Number of LODs) 옵션을 찾습니다.
LOD 그룹 은 프로젝트에 적합한 LOD 세팅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프리셋 목록을 제공합니다. 이 목록은
BaseEngine.ini
파일의[StaticMeshLODSettings]
에서 프로젝트별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모든 LOD의 디테일을 제어하는 것보다는 주로 LOD 그룹을 사용하면서 프로젝트에 적합한 카테고리를 구성하는 것을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LOD 개수 를 4 로 설정하고 변경사항 적용(Apply Changes) 버튼을 눌러 4개의 새 LOD를 메시에 추가합니다.
LOD 거리 자동 계산 은 해당 LOD에 사용할 화면 크기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체크해야 합니다. 알고리즘은 모든 에지 접기에 의해 추가되는 시각적 차이가 얼마나 큰지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정보를 통해 오차가 허용되는 거리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세팅을 끄면 각 LOD에 필요한 화면 크기를 일일이 직접 설정해야 하므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LOD1 옆의 흰색 삼각형을 눌러 섹션을 펼치고 감소 세팅(Reduction Settings) 옆의 흰색 삼각형을 누릅니다.
-
감소 세팅 에서 퍼센트 트라이앵글(Percent Triangle) 섹션을 찾아 값을 75 로 변경하고 변경사항 적용 버튼을 누릅니다.
-
이제 LOD2 및 LOD3 도 펼치고 퍼센트 트라이앵글 은 LOD2에서 25%, LOD3에서 12% 로 설정합니다. 변경을 마쳤다면 이제 각 LOD의 트라이앵글 개수가 LOD 이름 옆의 수치를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세요.
-
이제 스태틱 메시 에디터에서 카메라를 오브젝트 가까이에 가져갔다가 멀리 떨어지면 LOD가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OD가 변경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힘든 경우에는 화면 왼쪽에 표시되는 LOD 변경사항과 관련된 정보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이제 스태틱 메시에 LOD를 구성했으므로 해당 스태틱 메시는 레벨에 배치되었을 때 카메라와 떨어진 거리에 따라 LOD를 자동으로 선택하고 표시합니다.
최종 결과
이 문서에서는 언리얼 엔진 5에서 제공되는 자동 LOD 생성 툴의 두 가지 사용 방식을 살펴봤습니다. 자동 LOD 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에 맞춰 서로 다른 LOD 그룹을 구성 및 정의한 다음 LOD 세팅에서 찾을 수 있는 LOD 그룹 드롭다운으로 다양한 세팅을 선택하는 것이 권장된다는 점에 유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