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페이지는 언리얼 엔진과 포트나이트 언리얼 에디터(UEFN)에서 공통으로 제공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합니다.
언리얼 엔진을 기반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일부 설명과 스크린샷이 실제 UEFN과 다를 수 있습니다.
기본 UEFN 문서로 돌아가려면 여기 를 클릭하세요.
이 페이지에서는 초보자를 위해 시퀀서에서 파티클을 트리거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시네마틱과 언리얼 입문자를 위해 마련한 페이지입니다.
전제조건
- 시퀀서 기본 페이지를 읽고 레벨에서 레벨 시퀀스(Level Sequence) 를 연 상태여야 합니다.
- 프로젝트에 나이아가라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아래 예시에서는 Stack O Bot 프로젝트의 이펙트를 사용합니다.
시퀀서에 이펙트 추가하기
먼저 레벨에 이펙트를 추가합니다. 콘텐츠 브라우저(Content Browser)를 열고 나이아가라 시스템(Niagara System) 에셋을 찾아 레벨로 드래그하면 됩니다.

시퀀서에서 제어하려는 방식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파티클의 디테일 패널(Details Panel) 에서 자동 활성화(Auto Activate) 프로퍼티를 비활성화해야 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시퀀스를 열고 나이아가라 시스템을 선택한 다음, 트랙 추가(+)(Add Track (+)) 를 클릭하고 액터를 시퀀서로(Actor to Sequencer) > '나이아가라 시스템' 추가(Add 'Niagara System') 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시퀀스에 해당 이펙트를 참조하는 트랙이 추가됩니다.

트랙이 추가되면 다음 작업을 수행합니다.
- 나이아가라 트랙에서 트랙 추가(+) 를 클릭하고 NiagaraComponent0 을 선택합니다.
- NiagaraComponent0 트랙에서 트랙 추가(+) 를 클릭하고 FX 시스템 토글 트랙(FX System Toggle Track) 을 선택합니다.

이펙트 활성화하기
이제 시퀀서에 이펙트를 추가했습니다. 추가된 이펙트는 그 이펙트가 연속 이펙트인지 단일 트리거 이펙트인지에 따라 두 가지 방법으로 트리거할 수 있습니다.
연속 이펙트
무한 루프 이펙트의 경우 활성화(Activate) 및 비활성화(Deactivate) 키프레임을 생성해야 합니다.
먼저 FX 시스템 트랙을 선택하고 드롭다운 메뉴를 활성화 로 설정한 다음, Enter 를 누릅니다. 그러면 파티클 시스템 트랙에 이 시간에 이펙트를 활성화하는 활성화 키프레임이 설정됩니다.

다음으로 플레이헤드를 드래그해서 시퀀스의 나중 지점으로 옮깁니다. 그런 다음 FX 시스템 트랙의 드롭다운 메뉴를 클릭하고 비활성화 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이 시간에 이펙트를 비활성화하는 비활성화 키프레임이 설정됩니다.

이제 시퀀스를 재생할 때 파티클이 해당 키프레임에 맞춰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트리거 이펙트
한 번만 재생되고 무한 반복하지 않는 이펙트에 대해서는 트리거(Trigger) 키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FX 시스템 트랙의 드롭다운 메뉴를 클릭하고 트리거(Trigger) 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키프레임 타입이 활성화/비활성화 스테이트가 없는 트리거로 변경됩니다.

다음으로, FX 시스템(FX System) 트랙을 선택하고 Enter 를 눌러 키프레임을 배치합니다. 이제 이펙트가 작동하는 모습이 보일 것입니다.

파티클 시스템에 원하는 만큼 트리거 키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시퀀스가 재생되면 해당 키프레임과 함께 모두 트리거됩니다.

파라미터 애니메이팅하기
나이아가라 시스템에 사용자 노출 파라미터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것도 시퀀서에서 애니메이팅할 수 있습니다.
파라미터에 액세스하려면 NiagaraComponent0에서 트랙 추가(+) 를 클릭하고 파라미터 트랙(Parameter Track) 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해당 파라미터와 호환되는 프로퍼티 트랙이 추가됩니다.

다음으로 파라미터 트랙을 선택하고 Enter를 눌러 키프레임을 생성한 다음, 플레이헤드를 다른 위치로 이동하고 트랙의 프로퍼티 값을 변경하여 해당 값에 새로운 키프레임을 설정합니다. 이제 시퀀스를 재생하면 파라미터가 애니메이팅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