앰비언스(Ambience) 패널에서 트윈모션 씬의 비주얼 세팅과 생성하는 미디어 에셋의 비주얼 세팅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앰비언스 패널을 열려면 다음 단계를 따릅니다.
-
푸터 에서 씬(Scene) 및 속성(Properties) 을 클릭하여 씬 및 속성 패널을 모두 엽니다.
-
씬 패널에서 앰비언스 를 클릭합니다.
앰비언스 패널에는 수많은 옵션과 하위 옵션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스크롤을 최소화하려면 토글 아이콘을 클릭하여 2열 모드에서 앰비언스 패널을 씬 패널 왼쪽으로 이동합니다.
기본적으로 트윈모션 유저 인터페이스의 특정한 측정 단위 값은 미터(m)로 표기되며, 이러한 값은 문서에서도 미터로 표기됩니다. 하지만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단위 타입을 센티미터(cm), 인치(in) 또는 피트(ft)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Ctrl+P 를 눌러 환경설정(Preferences) 패널을 열고 유닛 설정(Unit system) 을 클릭하면 됩니다.
특정 세팅의 최댓값은 오버라이드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패스 트레이서(Path tracer) > 픽셀당 샘플(Samples per pixel) 세팅의 슬라이더를 움직여 최대 8192로 값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값을 직접 입력하여 이 값을 오버라이드할 수도 있습니다. 세팅의 최댓값을 오버라이드할 수 있는 경우, 아래 표에 별표(*)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환경(Env)
자연광
세팅 | 설명 |
---|---|
하루 중 시간(Time of day) | 씬의 하루 중 시간을 설정합니다. |
태양 강도(Sun intensity) | 룩스로 나타내는 전체적인 햇빛의 강도를 설정합니다. 옵션: 0~150000 |
태양 크기(Sun size) | 태양의 크기를 설정합니다. 옵션: 0.00~20.00 |
태양 리플렉션(Sun reflection) | 태양의 스페큘러 리플렉션 강도를 설정합니다. 옵션: 0.00~1.00 |
달빛 강도(Moon intensity) | 밤 씬에서 룩스로 나타내는 달빛의 강도를 설정합니다. 옵션: 0.00~10.00 |
별빛 강도(Stars intensity) | 밤 씬에서 별빛의 강도를 설정합니다. 이 세팅을 사용하려면 스카이돔(Skydome) 과 패스 트레이서 가 모두 비활성화 상태여야 합니다. 옵션: 0.0~3.00 |
앰비언트(Ambient) | 다이내믹 스카이에서 방출된 앰비언트 라이트를 제어합니다. 씬에서 HDRI 환경을 사용한다고 해도, 다이내믹 스카이에서 방출된 앰비언트 라이팅이 HDRI 라이팅 환경에 추가될 수 있습니다. 옵션: 0.00~2.00 |
날씨
세팅 | 설명 |
---|---|
날씨 슬라이더(Weather slider) | 씬에 사용되는 날씨를 설정합니다. |
계절 슬라이더(Season slider) | 씬에 사용되는 계절을 설정합니다. |
하이트 포그(Height fog) | 하이트 포그 양을 밀도 퍼센티지로 설정합니다. 0은 포그가 없는 상태, 100은 포그의 양이 최대인 상태입니다. 옵션: 0%~100% |
강수
세팅 | 설명 |
---|---|
사용(Enable) | 비, 눈 등 날씨 및 계절 슬라이더로 추가되는 날씨 파티클 이펙트를 표시하거나 숨깁니다. 이 세팅은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이 세팅을 사용하려면 패스 트레이서 렌더링 모드를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
강수 밝기 부스트(Precipitation brightness boost) | 비, 눈 등 날씨 슬라이더로 추가되는 날씨 파티클의 밝기를 설정합니다. 이 세팅을 사용하려면 패스 트레이서 렌더링 모드를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옵션: 0.00~1.00 |
표면 이펙트(Surface effects) | 물웅덩이, 눈 등 날씨 및 계절 슬라이더로 추가되는 표면의 날씨 이펙트를 표시하거나 숨깁니다. 이 세팅은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이 세팅을 사용하려면 패스 트레이서 렌더링 모드를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
습기(Wetness) | 표면의 강수량을 조정합니다. 옵션: -1.0~1.0 이 세팅은 비에만 적용됩니다. |
물웅덩이 크기(Puddle size) | 비가 내려 생긴 물웅덩이의 크기를 늘리거나 줄입니다. 옵션: -1.0~1.0 이 세팅은 비에만 적용됩니다. |
오프셋 X(Offset X) | 비가 내린 표면의 물웅덩이를 X축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합니다. 옵션: -1.0~1.0 이 세팅은 비에만 적용됩니다. |
오프셋 Y(Offset Y) | 비가 내린 표면의 물웅덩이를 Y축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합니다. 옵션: -1.0~1.0 이 세팅은 비에만 적용됩니다. |
날씨 조건
세팅 | 설명 |
---|---|
풍속(Wind speed) | 풍속을 설정합니다. 풍속은 플래그와 파티클에 영향을 미치고 폴리지의 잎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칩니다. 값이 높을수록 풍속이 빨라집니다. 옵션: 0.00~5.00 |
풍향(Wind direction) | 각도로 바람의 방향을 설정합니다. 옵션: 0°~360° |
식생 성장(Vegetation growth) | 식생의 수령을 설정합니다. 옵션: 0.00~1.00 |
로케이션
세팅 | 설명 |
---|---|
태양 - 방위각(Sun - North offset) | 씬에서 지리상 북쪽의 위치를 설정합니다. HDRI 환경에서 이 세팅을 사용하려면 HDRI 세팅에서 태양을 HDRI로 잠금(Lock sun to HDRI) 을 반드시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옵션: 0°~360° |
세부 사항(Details) > 월(Month) | 씬이 표시되는 월을 설정하고 선택한 월에 따라 태양의 정확한 위치를 구합니다. 이 세팅을 사용하면 태양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씬의 섀도가 주변 영역에 미치는 영향이나 주변 영역의 섀도가 씬에 미치는 영향을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HDRI 환경에서 이 세팅을 사용하려면 HDRI 세팅에서 태양을 HDRI로 잠금 을 반드시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
세부 사항(Details) > 맵(Map) | 씬의 물리적 위치를 설정하고, 맵에서 선택한 위치의 지리적 좌표에 따라 태양의 정확한 위치를 구합니다. 이 세팅을 사용하면 씬에서 태양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씬의 섀도가 주변 영역에 미치는 영향이나 주변 영역의 섀도가 씬에 미치는 영향을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맵에서 위치를 선택하고 마우스의 스크롤 휠로 맵을 줌 인하거나 줌 아웃할 수 있습니다. 특정한 위치를 선택하려면 검색창에 위치를 입력합니다. HDRI 환경에서 이 세팅을 사용하려면 HDRI 세팅에서 태양을 HDRI로 잠금 을 반드시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
HDRI 환경
세팅 | 설명 |
---|---|
사용(Enable) | 스카이돔 또는 백드롭 HDRI 환경을 활성화합니다. 트윈모션의 기본 라이팅 환경은 다이내믹 스카이가 제공합니다. 다이내믹 스카이를 사용하면 라이팅은 태양 강도(Sun intensity), 달빛 강도(Moon intensity), 앰비언트(Ambient) 세팅을 기반으로 하며, 리플렉션은 다이내믹 스카이를 기반으로 합니다. HDRI 환경을 사용할 때 라이팅과 리플렉션은 HDRI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합니다. 하지만 라이팅은 여전히 다이내믹 스카이의 앰비언트 라이팅 세팅에 영향을 받습니다. |
스카이돔(Skydome) | 라이팅은 HDRI가 투영되는 UV 매핑 구형 돔인 스카이돔 HDRI를 사용하여 적용됩니다. 씬에 추가된 스카이돔은 HDRI의 정보를 기반으로 라이팅 및 리플렉션을 생성합니다. 스카이돔은 회전할 수 있지만, 이동하거나 스케일을 조절할 수는 없습니다. 스카이돔 옵션에 대한 내용은 스카이돔을 참조하세요. |
백드롭 HDRI(Backdrop HDRI) | HDRI가 투영되는 UV 매핑 구형 돔인 백드롭 HDRI를 사용하여 라이팅을 적용합니다. 백드롭은 씬에 사용할 백그라운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HDRI의 정보를 기반으로 라이팅 및 리플렉션도 생성합니다. 백드롭은 회전 및 스케일 조절이 가능하며, 돔에 있는 HDRI의 수평 및 수직 UV 배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백드롭에는 섀도를 드리우고 피직스를 지원하는 지면도 있습니다. 지면에는 오브젝트를 놓을 수 있습니다. 백드롭 옵션에 대한 내용은 백드롭 HDRI를 참조하세요. |
스카이돔
세팅 | 설명 |
---|---|
강도(Intensity) | 스카이돔에서 방출되는 빛의 강도를 제어합니다. 옵션: 0.00~100.00* |
회전(Rotation) | 씬 주변의 스카이돔 텍스처를 회전합니다. 태양을 HDRI로 잠금 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스카이돔의 회전에 따라 태양의 위치도 바뀝니다. 옵션: 0°~360° |
HDRI 프리뷰(HDRI preview) | 스카이돔의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합니다. 스카이돔을 관리할 수 있는 메뉴를 열려면 이미지 위에 커서를 올릴 때 나타나는 줄임표(...) 를 클릭합니다. |
세부 사항(Details) > HDRI가 조명에 영향을 미침(HDRI affects lighting) | 이 세팅을 활성화하면 스카이돔이 씬의 라이팅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세팅은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비활성화하면 다이내믹 스카이의 라이팅이 제공됩니다. 이 세팅은 리얼타임(Real time) 렌더링 모드에서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지만, 패스 트레이서 렌더링 모드에서는 비활성화할 수 없습니다. 옵션: 켜기(On), 끄기(Off) |
세부 사항(Details) > 태양을 HDRI로 잠금(Lock sun to HDRI) | 활성화하면 스카이돔의 태양 위치가 사용됩니다. 이 세팅을 사용하면 사실적인 라이팅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스카이돔을 회전시키면 스카이돔에 있는 태양의 위치에 맞춰 섀도가 변합니다. 비활성화하면 스카이돔을 회전시킬 때 다이내믹 스카이에 있는 태양의 세팅에 따라 섀도가 대신 배치되며, 월 및 태양 - 방위각 값이 바뀔 수 있습니다. 옵션: 켜기(On), 끄기(Off) |
세부 사항(Details) > 하이트 포그 이펙트(Height fog effects) | 선택하면 하이트 포그(Height fog) 세팅이 씬뿐만 아니라 스카이돔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이 세팅은 리얼타임(Real time) 렌더링 모드에서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지만, 패스 트레이서 렌더링 모드에서는 비활성화할 수 없습니다. |
백드롭 HDRI
세팅 | 설명 |
---|---|
강도(Intensity) | 백드롭 HDRI 가 활성화되어 있을 때 백드롭에서 방출되는 빛의 강도를 제어합니다. 옵션: 0.00~100.00* |
회전(Rotation) | 씬 주변의 백드롭 텍스처를 회전합니다. 태양을 HDRI로 잠금 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백드롭의 회전에 따라 태양의 위치도 바뀝니다. 옵션: 0°~360° |
태양을 HDRI로 잠금(Lock sun to HDRI) | 활성화하면 백드롭의 태양 위치가 사용됩니다. 이 세팅을 사용하면 사실적인 라이팅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백드롭을 회전시키면 백드롭에 있는 태양의 위치에 맞춰 섀도가 변합니다. 비활성화하면 백드롭을 회전시킬 때 다이내믹 스카이에 있는 태양의 세팅에 따라 섀도가 대신 배치되며, 월 및 태양 - 방위각 값이 바뀔 수 있습니다. 옵션: 켜기(On), 끄기(Off) |
HDRI 프리뷰(HDRI preview) | 백드롭의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합니다. 백드롭을 관리할 수 있는 메뉴를 열려면 이미지 위에 커서를 올릴 때 나타나는 줄임표(...) 를 클릭합니다. |
세부 사항(Details) > 위치 지정(Positioning) | 백드롭의 위치를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세부 사항(Details) > 크기(Size) | HDRI가 투영된 백드롭의 반구형 돔의 지름을 설정합니다. 옵션: 0.5~500*m |
세부 사항(Details) > 높이 오프셋(Height offset) | 백드롭의 기본 위치를 기준으로 높이 오프셋을 결정합니다. 옵션: -10*~10*m |
세부 사항(Details) > 프로젝션 오프셋(Projection offset) | 백드롭의 반구형 돔에 있는 HDRI의 수직 UV 프로젝션을 결정합니다. 옵션: 0.05~100.0m |
세부 사항(Details) > 기울이기(Tilt) | 백드롭의 반구형 돔에 있는 HDRI의 수평 UV 프로젝션을 회전합니다. 옵션: -90°~90° |
_세부 사항(Details) > HDRI가 조명에 영향을 미침 | 이 세팅을 활성화하면 백드롭이 씬의 라이팅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세팅은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비활성화하면 다이내믹 스카이의 라이팅이 제공됩니다. 이 세팅은 리얼타임(Real time) 렌더링 모드에서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지만, 패스 트레이서 렌더링 모드에서는 비활성화할 수 없습니다. 옵션: 켜기(On), 끄기(Off) |
세부 사항(Details) > 셰이딩(Shading) | 선택된 값이 높을수록 백드롭에서 섀도의 이펙트가 강해지고 잘 보이게 됩니다. 값이 낮을수록(0.00에 가까울수록) 백드롭에서 섀도가 잘 안 보이거나 사라지게 됩니다. 옵션: 0.00~1.00 |
세부 사항(Details) > 날씨 이펙트(Weather effects) | 씬의 날씨 이펙트를 활성화하면 백드롭 내에서 눈, 비 파티클과 범위 등 날씨 슬라이더 세팅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합니다. 옵션: 켜기(On), 끄기(Off) |
지평선
세팅 | 설명 |
---|---|
사용(Enable) | 배경 이미지 컷아웃을 지평선에 추가합니다. |
사진(Picture) | 씬의 배경 이미지를 설정합니다. 옵션: 도시(City), 소도시(Town), 교외지역(Countryside), 산맥(Mountains), 항구도시(City island), 만(Bay), 수변(Waterfront), 유럽 도시(European City) |
회전(Rotation) | 씬 주변의 선택된 백그라운드를 회전합니다. 옵션: 0°~360° |
오션
세팅 | 설명 |
---|---|
사용(Enable) | 오션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합니다. 활성화하면 지면이 바다로 변합니다. 옵션: 켜기(On), 끄기(Off) |
높이(Height) | 오션 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오션의 높이를 제어합니다. 옵션: -100.00m~100.00m |
외관(Appearance) | 오션 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오션의 비주얼 유형을 선택합니다. 옵션: 맑은 강(Clear river), 깊은 해양(Atlantic ocean), 큰 강(Large river), 열대성 바다(Tropical sea), 급류(Rapids river), 흙탕물(Muddy river), 열대성 강(Tropical river) |
카메라
노출 및 화이트밸런스
세팅 | 설명 |
---|---|
자동 노출(Auto-exposure) | 자동 노출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면 씬의 전체적인 휘도를 계산하고 노출을 자동으로 보정하여 씬을 더 밝거나 어둡게 합니다. 실내 및 실외 씬을 오갈 때는 자동 노출을 활성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 노출 활성화 시 밝은 환경과 어두운 환경을 오갈 때 사람의 실제 시각과 비슷하게 노출이 자동으로 조정되기 때문입니다. 옵션: 켜기(On), 끄기(Off) |
노출(Exposure) | 씬의 노출을 설정합니다. 옵션: -15.00~15.00 |
화이트밸런스(White bal.) | Kelvin 스케일을 사용하여 화이트밸런스를 설정합니다. 옵션: 1500K~15,000K |
로컬 노출
세팅 | 설명 |
---|---|
사용(Enable) | 로컬 노출을 활성화하여 섀도와 하이라이트의 디테일을 보존합니다. 이는 특히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 간의 대비가 높은 하이 다이내믹 레인지 씬에 유용합니다. 로컬 노출이 활성화된 경우 지나치게 밝거나 어두운 영역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는 디테일이 향상되어 더 잘 보이게 됩니다. |
하이라이트 감소(Highlight reduction) | 하이라이트를 줄여 과도하게 노출된 영역에 더 많은 디테일을 표시합니다. 옵션: 0.00~1.00* |
섀도 부스트(Shadow boost) | 섀도를 향상하여 어두운 영역에 더 많은 디테일을 표시합니다. 옵션: 0.00~1.00* |
렌즈
별표(*) 표시된 세팅은 파노라마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세팅 | 설명 |
---|---|
초점 거리(Focal length)* | 풀 프레임 카메라의 센서 크기를 기준으로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밀리미터 단위로 설정합니다. 이 세팅은 트윈모션이 미디어(Media) 모드일 때 미디어의 초점 거리를 변경합니다. 옵션: 2~1500mm |
필드 오브 뷰(Field of view)* | 카메라의 필드 오브 뷰를 각도 단위로 설정합니다. 이 세팅은 트윈모션이 미디어 모드가 아닐 때 미디어의 필드 오브 뷰를 변경합니다. 옵션: 5°~170° |
세부 사항(Details) > 비네팅(Vignetting)* | 비네팅의 퍼센티지를 설정합니다. 옵션: 0%~100% |
세부 사항(Details) > 선명도(Sharpness)* | 안티 에일리어싱의 양을 설정합니다. 값이 낮을수록 부드러운(흐릿한) 결과가 나옵니다. 값이 높을수록 에지가 더 많이 에일리어싱된 선명한 결과가 나옵니다. 옵션: 0%~100% |
세부 사항(Details) > 색수차(Chromatic aberration)* | 실제 카메라 렌즈로 촬영한 사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컬러 변화나 왜곡을 시뮬레이션하여 렌더에 보다 사실적인 이펙트를 더합니다. 색수차는 컬러 프린지라고도 합니다. 옵션: 0~100% |
세부 사항(Details) > 카메라 정렬(Align camera) | 카메라를 오브젝트 표면에 직각이 되도록 움직여 카메라 포인트를 똑바르게 만듭니다. |
세부 사항(Details) > 패러렐리즘(Parallelism)* | 이미지의 패러렐리즘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합니다. 패러렐리즘을 활성화하면 평행한 수직선들이 카메라의 뷰 각도와 관계없이 수직이 됩니다. 옵션: 켜기(On), 끄기(Off) |
__세부 사항(Details) > 근거리 클리핑(Near clipping)__ | 이 세팅은 근거리 클리핑 면이 카메라 앞에 있거나 카메라와 가장 가까운 오브젝트를 클리핑하거나 숨기는 거리를 결정합니다. 근거리 클리핑 면은 카메라의 화각에 수직으로 오브젝트를 자르며, 카메라의 위치를 기준으로 앞이나 뒤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카메라와 가까운 상태에서 뷰포트의 작은 오브젝트를 보면, 오브젝트 일부가 근거리 클리핑 면에 의해 잘리거나 감춰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값을 조정하면 클리핑 면이 이동하며, 작은 오브젝트를 가까이에서 볼 때 클리핑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옵션: 0.001~1.00*m |
뎁스 오브 필드
세팅 | 설명 |
---|---|
사용(Enable) | 뎁스 오브 필드(Depth of field) 를 활성화합니다. |
디스턴스(Distance) | 초점 거리를 제어합니다. 옵션: 0.10m~500.00*m |
초점 선택(Pick focus) | 뎁스 오브 필드(Depth of field) 를 활성화하면 씬 내 영역을 클릭하여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
조리개(Aperture) | 조리개의 크기를 제어합니다. 옵션: 1.0~10.0 |
보케 모양(Bokeh shape) | 보케 모양의 에지 수를 제어합니다. 옵션: 4~16 |
필름백
이 세팅은 트윈모션이 미디어 모드이고 미디어 도크에서 이미지, 비디오 또는 시퀀스의 섬네일이 선택되었을 때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세팅 | 설명 |
---|---|
사용(Enable) | 트윈모션에서 이미지, 비디오, 시퀀스의 필름백(Filmback) 세팅을 활성화하여 실제 카메라 프로필에 카메라를 정확히 맞춥니다. 필름백 세팅은 선택한 프리셋(Preset) 에 따라 실제 카메라 센서 또는 필름 프레임 치수(센서 너비 및 높이)를 뷰포트의 씬과 익스포트된 미디어에 적용합니다. 필름백 프리셋은 다음 사항을 결정합니다.
필름백 프리셋을 활성화하면 개별 익스포트 세팅에서 정의되는 이미지, 비디오, 시퀀스의 아웃풋 크기(너비 및 높이)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프리셋의 종횡비를 유지하기 위해, 익스포트된 미디어의 너비는 변경할 수 있지만 높이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미지 및 파노라마의 개별 익스포트 세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미지 및 파노라마 익스포트 세팅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비디오의 개별 익스포트 세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비디오 익스포트 세팅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
프리셋(Preset) | 선택할 수 있는 실제 카메라 센서 치수 목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옵션: 16:9 필름(16:9 Film), 16:9 디지털 필름(16:9 Digital Film), 16:9 DSLR, 슈퍼 8mm(Super 8mm), 슈퍼 16mm(Super 16mm), 슈퍼 35mm(Super 35mm), 35mm 아카데미(35mm Academy), 35mm 전체 조리개(35mm Full Aperture), 35mm 비스타 비전(35mm VistaVision), IMAX 70mm, APS-C(Canon), 풀 프레임 DSLR(Full Frame DSLR), 마이크로 포서즈(Micro Four Thirds). |
세부 사항(Details) > 센서 너비(Sensor width) | 필름 프레임 또는 카메라 센서의 너비를 밀리미터 단위로 나타냅니다. 이 값은 새로운 필름백 프리셋이 선택될 때 자동으로 변경됩니다. 이 값을 수동으로 변경하여 커스텀(Custom) 필름백 프리셋을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옵션: 1.00mm~100.00mm |
세부 사항(Details) > 센서 높이(Sensor height) | 필름 프레임 또는 카메라 센서의 높이를 밀리미터 단위로 나타냅니다. 이 값은 새로운 필름백 프리셋이 선택될 때 자동으로 변경됩니다. 이 값을 수동으로 변경하여 커스텀(Custom) 필름백 프리셋을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옵션: 1.00mm~100.00mm |
블룸 및 플레어
세팅 | 설명 |
---|---|
블룸 강도(Bloom intensity) | 블룸 이펙트의 강도를 설정합니다. 기본값은 10.00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블룸은 특히 어두운 환경이나 배경에서 매우 밝은 물체나 광원을 바라볼 때 보이는 실제 라이팅 이펙트를 시뮬레이션합니다. 블룸은 라이트 블리딩 또는 글로 이펙트를 제공하여 가로등이나 자동차 라이트와 같은 밝은 광원의 사실적인 이펙트를 향상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펙트의 강도는 광원의 크기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블룸 셰이프는 선택한 텍스처에 따라 다릅니다. 옵션: 0.00~100.00* |
텍스처(Texture) | 블룸 셰이프를 정의하는 블룸 커널 텍스처 프리셋의 컬렉션입니다. 옵션: 단순(Simple), 기본(Default), 합성 4(Synthetic 4), 합성 5(Synthetic 5), 합성 6(Synthetic 6), 합성(Synthetic), 선버스트(Sunburst), 스타 필터 4x(Star filter 4x), 스타 필터 6x(Star filter 6x), 스타 필터 8x(Star filter 8x), 애너모픽 블루(Anamorphic blue), 애너모픽 골드(Anamorphic gold). |
렌즈 플레어(Lens flare) | 렌즈 플레어의 강도를 설정합니다. 옵션: 0%~100% |
렌즈 먼지(Lens dirt) | 먼지, 스크래치, 얼룩 등 카메라 렌즈의 임퍼펙션을 시뮬레이션합니다. 옵션: 0%~100% |
컴포지션 오버레이
세팅 | 설명 |
---|---|
없음(None) | 뷰포트에서 컴포지션 그리드 오버레이를 숨깁니다. |
그리드(Grid) | 뷰포트에 컴포지션 그리드 오버레이를 표시합니다. 씬의 컴포지션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행과 열의 수를 변경하여 커스텀 그리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씬에서 세이프 영역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
열(Columns) | 그리드 열의 수를 설정합니다. 이 세팅은 컴포지션 그리드 오버레이를 활성화하면 표시됩니다. 옵션: 1~16* |
행(Rows) | 컴포지션 그리드 오버레이가 표시되는 경우 그리드 행의 수를 설정합니다. 옵션: 1~16* |
컬러(Color) | 컴포지션 그리드의 컬러를 정의할 수 있는 컬러 피커를 엽니다. 이 세팅은 컴포지션 그리드 오버레이를 활성화하면 표시됩니다. |
세이프 영역
세팅 | 설명 |
---|---|
사용(Enable) | 컴포지션 오버레이 그리드가 표시되는 경우 세이프 영역을 표시하거나 숨깁니다. 세이프 영역을 정의 및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
액션 세이프(Action safe) | 재생 중 크롭이나 디스토션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 엘리먼트를 세이프 바운더리 내에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옵션: 0%~100% |
액션 세이프(Action safe) > 컬러(Color) | 액션 세이프 바운더리의 컬러를 정의할 수 있는 컬러 피커를 엽니다. |
타이틀 세이프(Title safe) |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텍스트가 화면에 계속 표시되고 제대로 배치되도록 합니다. 옵션: 0%~100% |
타이틀 세이프(Title safe) > 컬러(Color) | 타이틀 세이프 바운더리의 컬러를 정의할 수 있는 컬러 피커를 엽니다. |
커스텀 세이프(Custom safe) | 이 옵션으로 개인화된 세이프 영역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옵션: 0%~100% |
커스텀 세이프(Custom safe) > 컬러(Color) | 커스텀 세이프 바운더리의 컬러를 정의할 수 있는 컬러 피커를 엽니다. |
렌더(렌더러)
세팅 | 설명 |
---|---|
리얼타임(Real time) | 다이내믹 고퀄리티 렌더링을 실시간으로 생성합니다. 표준 또는 루멘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표준 및 루멘 글로벌 일루미네이션 옵션에 대한 내용은 리얼타임을 참조하세요. |
패스 트레이서(Path tracer) | 정확한 라이팅과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으로 포토리얼한 고퀄리티 렌더링을 생성합니다. 패스 트레이서 옵션에 대한 내용은 패스 트레이서를 참조하세요. |
리얼타임
글로벌 일루미네이션
세팅 | 설명 |
---|---|
표준(Standard) | 라이트 프로퍼게이션 볼륨(Light Propagation Volumes, LPV)을 기반으로 글로벌 일루미네이션과 비슷한 결과를 제공합니다. 이 방법으로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루멘보다 퀄리티와 정확도가 떨어집니다. 표준 글로벌 일루미네이션 세팅에 대한 내용은 표준을 참조하세요. |
루멘(Lumen) | 레이 트레이싱에 기반한 루멘은 디퓨즈 인터리플렉션에 무한 바운스와 스페큘러 리플렉션(단일 및 다수)을 제공하여 간접광을 정확하게 시뮬레이션합니다. 루멘 글로벌 일루미네이션 세팅에 대한 내용은 루멘을 참조하세요. 루멘 및 루멘 사용법에 대한 내용은 루멘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을 참조하세요. |
표준
세팅 | 설명 |
---|---|
GI 강도(GI intensity) |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의 강도를 설정합니다. 옵션: 0.00~1.00 |
GI 디스턴스(GI distance) |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카메라를 기준으로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이 적용되는 거리를 제어합니다. 예를 들어, 값을 400m로 설정하면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이 카메라에서 400m 거리까지만 적용됩니다. 옵션: 0.00~1.00 |
기타(Misc.) > 리플렉션 - SSR(Reflections - SSR) | 불투명한 반사 표면에 로컬 리플렉션을 추가하는 SSR 리플렉션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합니다. 로컬 리플렉션은 뷰포트에 표시되는 씬 내 항목들을 사용하여 생성됩니다. 이 세팅을 사용하려면 패스 트레이서 가 비활성화 상태여야 합니다. 옵션: 1.00m~500.00m |
루멘
세팅 | 설명 |
---|---|
씬 디테일(Scene detail) | 루멘이 고려할 최소 표면 크기입니다. 이 값보다 작은 표면은 루멘으로 컬링되고, 메시 충돌 시각화 체크 박스를 선택하면 옐로우로 표시됩니다. 값을 높이면 더 많은 오브젝트가 포함되지만 RAM 사용량이 증가합니다. 옵션: 0.0~4.0 |
뷰 디스턴스(View distance) | 루멘이 영향을 미치는 카메라에서의 뷰 디스턴스(미터)입니다. 값을 0으로 선택하면 루멘이 씬에 영향을 전혀 미치지 않습니다. 옵션: 0~20,971.52미터 |
라이팅 업데이트 속도(Lighting update speed) | 루멘이 리얼타임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을 업데이트하는 속도입니다. 루멘은 반복 프로세스를 통해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을 실시간으로 계산하고 전파합니다. 이 세팅은 계산 빈도와 최종 라이팅 솔루션이 업데이트되는 속도를 변경합니다. 값을 0으로 선택하면 업데이트가 비활성화되고, 값이 클수록 업데이트 빈도가 증가합니다. 값이 높으면 렌더링 속도가 감소합니다. 옵션: 0~4.0 |
메시 충돌 시각화(Visualize mesh conflicts) | 루멘으로 컬링된 표면을 보여줍니다. 마젠타 표면은 루멘으로 커버하기에 너무 복잡한 메시 영역이고, 옐로우 표면은 뷰 디스턴스 또는 씬 디테일에 입력한 값을 초과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루멘 글로벌 일루미네이션 사용하기의 메시 충돌 시각화하기를 참조하세요. |
루멘 리플렉션 세팅(Lumen reflection settings) |
|
글로벌 일루미네이션 > 섀도
이 세팅은 표준 및 루멘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에 모두 적용됩니다.
세팅 | 설명 |
---|---|
섀도(Shadow) | 카메라를 기준으로 오브젝트의 섀도가 드리워지는 거리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값을 500m로 설정하면 카메라에서 500m 거리 안에 있는 오브젝트에만 섀도가 드리워집니다. 값이 작을수록 섀도를 드리우는 범위가 짧아지지만, 더 디테일한 고해상도 섀도가 연출됩니다. 반대로 값이 크면 범위가 길어지지만, 섀도의 디테일은 떨어집니다. 옵션: 10m~5000m |
섀도 바이어스(Shadow bias) | 섀도 바이어스 값을 설정합니다. 값이 낮으면 오브젝트가 표면에 더 붙어 있는 느낌이 듭니다. 빛이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들어와 오브젝트에 발생하는 원치 않는 셀프 섀도가 생길 때 섀도 바이어스 값을 높이면 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옵션: 0.10~1.00 |
패스 트레이서
세팅 | 설명 |
---|---|
퀄리티(Quality) | 다음 프리셋에 따라 패스 트레이서 세팅을 설정합니다.
|
픽셀당 샘플(Samples per pixel) | 패스 트레이싱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수렴하는 픽셀당 샘플 수를 설정합니다. 샘플 수가 많을수록 이미지 노이즈가 감소하지만, 렌더링 시간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옵션: 1~8192* |
최대 바운스(Max bounces) | 패스 트레이싱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레이 바운스 최대 개수를 설정합니다. 바운스 개수는 빛이 표면에 반사(바운스)되는 횟수를 가리킵니다. 값이 커지면 렌더링 시간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옵션: 1~100 |
이미시브 머티리얼(Emissive materials) | 패스 트레이서 렌더링 모드에서 이미시브 머티리얼이 바운스 라이팅에 미치는 영향을 제어합니다. 활성화 시 이 머티리얼은 바운스 라이팅에 영향을 미치며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에 기여합니다. 실내 씬에 자체 발광 머티리얼이 있는 작은 오브젝트가 포함된 경우와 같이 이미지 노이즈를 줄여야 하는 특정 사례에서는 이 옵션을 비활성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옵션: 켜기(On), 끄기(Off) |
디노이저(Denoiser) | 패스 트레이싱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이미지 디노이저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합니다. 옵션: 켜기(On), 끄기(Off) |
파이어플라이(Fireflies) | 패스 트레이싱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촘촘하게 빛나는 렌더링 아티팩트(파이어플라이)의 비저빌리티와 노출을 설정합니다. 옵션: -10.00~30.00 |
FX(이펙트)
컬러 그레이딩
세팅 | 설명 |
---|---|
대비(Contrast) | 대비를 설정합니다. 옵션: 0%~100% |
채도(Saturation) | 채도를 설정합니다. 옵션: 0%~100% |
컬러 그레이디언트(Color gradient) | 컬러 그레이디언트의 유형을 설정합니다. |
필터(Filter) | 필터를 적용하고 필터 유형을 선택합니다. 옵션: 없음(None), 8비트(8-Bit), 볼펜(Ballpoint Pen), 블루프린트 1(Blueprint 1), 블루프린트 2(Blueprint 2), 크로스 스티치(Cross Stitch), 하프톤(Halftone), 하프톤 코믹(Halftone Comic), 해칭(Hatching), 히든 라인 1(Hidden Line 1), 히든 라인 2(Hidden Line 2), 라인 헤비(Line Heavy), 라인 라이트(Line Light), 라인 레귤러(Line Regular), SF(SciFi) |
클레이 렌더
세팅 | 설명 | |
---|---|---|
클레이 렌더(Clay render) | 클레이 렌더링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고 클레이 렌더링 옵션을 설정합니다. |
|
컬러(Color) | 클레이 렌더링 컬러를 선택할 수 있는 컬러 피커를 엽니다. | |
반투명(Translucency) | 클레이 렌더링 이펙트의 반투명을 퍼센티지로 설정합니다. 옵션: 0%~100% |
|
리플렉션(Reflection) | 클레이 렌더링의 리플렉션을 퍼센티지로 설정합니다. 옵션: 0%~100% |
|
범프(Bump) | 머티리얼에 범프 매핑이 존재하는 경우 클레이 렌더링의 범프 매핑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합니다. | |
영향을 받는 요소(Affected elements) | 선택한 항목에 클레이 렌더링을 적용합니다. 옵션: 유리(Glass), 랜드스케이프(Landscape), 식생(Vegetation), 물(Water), 캐릭터(Characters), 차량(Vehicles), 아이템(Items), 기타(Others) |